리눅스에 관하여

리눅스 디스크 사용량 확인법 총정리! df와 du 명령어 비교 분석

평범하고 즐거운 삶 2025. 3. 27. 14:16
반응형

리눅스 디스크 용량 확인 명령어 총정리: df vs du 완벽 비교

디스크가 꽉 찼다고 경고가 떴는데, 대체 뭐가 문제인지 몰랐던 경험 있으신가요? df와 du 명령어만 알면, 원인 추적은 물론 해결까지 가능해요!

안녕하세요 여러분! 며칠 전 제 개발 서버가 갑자기 다운돼서 당황한 적이 있었어요. 알고 보니 디스크가 꽉 차 있었더라고요. 그때 처음으로 dfdu 명령어를 본격적으로 써봤는데요. 두 명령어의 차이와 활용법을 제대로 알게 되니, 디스크 사용량 체크가 훨씬 쉬워졌어요. 오늘은 여러분과 그 팁을 나누고자 합니다!

1. df 명령어: 전체 디스크 사용량 확인

df는 디스크 전체의 사용량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예요. 특히 df -h는 사람이 읽기 쉬운(human-readable) 형태로 출력해주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거의 필수로 붙여서 사용하죠. 파일시스템별 용량, 사용량, 남은 공간 등을 보여줍니다. 서버가 어느 정도 찼는지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기본 도구예요.

df -h

2. du 명령어: 폴더별 세부 사용량 확인

du는 특정 폴더나 파일의 실제 사용 용량을 자세히 보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특히 du -sh *처럼 쓰면, 현재 디렉토리 아래의 각 폴더가 얼마나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요. df가 전체적인 개요를 보여준다면, du는 “누가 공간을 많이 먹고 있는지”를 추적할 때 쓰입니다.

명령어 설명
du -sh 해당 폴더의 총 사용 용량
du -sh * 하위 폴더별 용량 확인
du -csh * 총합까지 같이 출력

3. df와 du의 차이점 비교

두 명령어는 비슷해 보여도 완전히 다른 관점을 보여줍니다. 아래 리스트를 보면 언제 어떤 걸 써야 할지 쉽게 이해될 거예요.

  • df: 디스크 전체 공간 기준 (파일시스템 레벨)
  • du: 실제 파일과 폴더가 차지하는 공간 기준
  • df는 마운트 상태까지 확인 가능
  • du는 상세 분석에 특화 (하위 디렉토리별)
  • 둘 다 -h 옵션 자주 사용

4. 디스크 공간 부족 시 대처법

디스크가 가득 차면 시스템이 멈추거나 로그를 못 쓰는 등 다양한 문제가 생겨요. 그럴 땐 먼저 df -h로 전체 상태를 보고, du -sh *로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폴더를 추적하세요. 그리고 오래된 로그 파일, 캐시 파일, tmp 디렉토리 등을 정리해보세요.

  • sudo du -sh /var/* : 용량 많이 먹는 디렉토리 추적
  • sudo journalctl --vacuum-time=7d : 시스템 로그 정리
  • rm -rf ~/.cache/* : 사용자 캐시 삭제
  • apt-get clean 또는 yum clean all: 패키지 캐시 정리

5. 실무에서 자주 쓰는 df/du 조합

명령어 조합 설명
df -h 디스크 전체 요약 보기
du -sh * 현재 디렉토리 용량 비교
du -hc * 총합까지 출력하여 확인
du -sh /home/* | sort -hr 폴더별 용량 내림차순 정렬

6. 자주 묻는 질문 정리

Q df와 du의 용량이 다르게 나오는 이유는?

df는 전체 디스크 기준이고, du는 실제 파일 기준이에요. 삭제된 파일이 아직 프로세스에서 열려 있거나, 하드링크 같은 특수 케이스 때문에 차이가 날 수 있어요.

Q du에서 권한 문제로 접근 안 되는 폴더는 어떻게 하나요?

루트 권한으로 실행하면 돼요. 예: sudo du -sh /var/*

Q df -i는 무슨 기능인가요?

디스크 공간이 아닌 inode 사용량을 보여줘요. 파일 개수가 많은 환경에서는 inode 부족으로 오류가 생길 수 있어요.

Q du 명령어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이유는?

하위 디렉토리를 모두 순회하면서 사이즈를 계산하기 때문이에요. -d 옵션으로 깊이를 제한하거나 -s 옵션으로 요약만 출력하면 빨라져요.

Q SSD 디스크에서는 다르게 작동하나요?

명령어 자체는 동일하지만, SSD는 읽기 속도가 빨라서 du의 속도도 더 빠르게 느껴질 수 있어요. 파일시스템 특성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Q du 결과를 용량별로 정렬할 수 있나요?

du -sh * | sort -hr 형태로 쓰면, 가장 큰 폴더부터 순서대로 정렬돼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요.

오늘은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확인할 때 꼭 알아야 할 dfdu 명령어의 차이와 활용법에 대해 정리해봤어요. 실무에서 디스크 용량 경고를 마주했을 때, 당황하지 않고 원인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핵심 도구들이죠. 이제는 용량이 부족할 때, 어떤 명령어를 어떻게 써야 할지 명확하게 아셨을 거예요. 여러분의 서버 관리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궁금한 점이나 공유하고 싶은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

리눅스, df 명령어, du 명령어, 디스크 용량 확인, 서버 관리, 파일시스템, 로그 정리, df vs du, 디스크 정리 팁, 실무용 명령어

📝 참고 링크

더 자세한 사용법과 모든 옵션은 아래 공식 매뉴얼을 참고해보세요.
👉 df 명령어 매뉴얼, du 명령어 매뉴얼

반응형
티스토리 친구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