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령어 33

리눅스(Linux) free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free free 명령어는 리눅스 시스템에 대한 메모리 사용향을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free 명령어로 현재 메모리 사용량, 스왑 사용량, 남은 메모리의 양 등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free 명령어 사용법 free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메모리 사용량이 출력이 됩니다. 여기서 Mem(메모리) total(메모리 총 용량) used (현재 메모리 사용량) free(현재 남은 메모리양) shared(시스템 공유메모리의 용량) buff/cache (응용프로그램들에 의해 버퍼링된 사용량) available(가용한 메모리양) 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예시) free -h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처럼 우리 사용자들이 보기 익숙한 단위로 출력됩니다. 예시) 간단히 자주쓰이는 free명령어에 대해 알아보..

리눅스(Linux) history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history history명령어는 이전에 사용했던 명령어들을 확인할수 있는 명령어입니다. 명령어 사용법 history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이전에 사용했던 명령어들이 출력이 됩니다. 예시) history (숫자) 명령어를 입력하면 입력한 숫자에 따라 최근에 사용한 명령어들이 출력이 됩니다. 예시) history 명령어랑 상관은 없지만 추가로 하나의 유용한 명령어 clear 명령어는 화면 지우기 입니다. clear 명령어의 단축기는 ctrl + l 버튼입니다. 예시) 이상으로 history 명령어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리눅스(Linux) vi 편집기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vi vi명령어는 파일 내용을 작성 또는 수정할때 사용됩니다. 정말 기본적인 사용법만 알려드리겠습니다. 명령어 사용법 vi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예시) 여기서 작성을 하고싶으면 키보드에 있는 I(ㅑ)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아래화면에 보시는 봐와 같이 화면 아래쪽에 INSERT라고 표시되면서 작성이 가능해 집니다. 예시) 그 다음 나가실 때에는 먼저 esc키를 누른후 :wq를 입력하면 나가실수 있습니다. 이때 :wq는 작업내용을 저장하면서 나가기 이고, :q는 그냥 나가기 :q! 강제로 나가기 입니다. 예시) 기본옵션으로는 esc(종료) k(커서 위로 이동) j(커서 아래 이동) h(커서 왼쪽 이동) l(커서 오른쪽 이동) /(입력한 문자 찾기) d두번 누르기(지정한 줄 삭제)..

리눅스(Linux) ip주소 확인 명령어 사용법(ifconfig, ip addr show, hostname -I)

리눅스에서 IP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가 여러개 있습니다. 하나씩 보여드리겠습니다. 우선 첫번째로 ifconfig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ip주소가 출력이 됩니다. 예시) 두번째로는 ip addr show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출력이 됩니다. 예시) 세번째로는 hostname -I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ip주소만 출력이 됩니다. 예시) ip주소 확인 명령어 ifconfig, ip addr show, hostname -I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행복하세요~

리눅스(Linux) crontab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crontab(크론탭) crontab 명령어는 간단하게 예약 명령어 입니다. crontab 명령어는 특정시간에 주기적으로 입력된 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 명령어 입니다. crontab 명령어 사용법 crontab -l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현재 crontab(크론탭)에 어떠한 내용이 입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입니다. 아래 화면에서 첫번째 0은 분, 두번째 0은 시간, 세번째 *은 일, 네번째 *은 월, 다섯번째 *은 요일을 뜻합니다. 그뒤에 명령어는 지정된 시간에 예약된 명령어를 뜻합니다. 예시) crontab -e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 화면과 예약 내용을 입력할수 있습니다. vi에디터 모드로 들어가지는데 여기서 새로운 내용을 입력하고 저장후 나오면 됩니다. I를 누르면 입력되고 es..

리눅스(Linux) tar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tar tar(Tape archiver)명령어는 zip파일과 비슷하게 압축을 하고 풀어주는 명령어로 봐도 되지만 정확히는 파일과 디렉토리를 하나의 파일로 묶어주는 아키이브를 생성하는 명령어 입니다. 명령어 사용법 tar cf (파일명.tar) (압축할 파일들~)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화면과 같이 tar파일이 생성됩니다. 예시) tar cfv (파일명.tar) (압축할 파일들~)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tar 파일이 생성되는데 생성되는 과정인 묶어지는 파일들이 보여집니다. 예시) tar xvf (파일명.tar) 명령어는 압축을 풀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아래 화면과 같이 압축이 풀어집니다. 예시) tar xvf (파일명.tar) -C (압축풀 디렉토리)를 입력하면 지정된 디렉토리에 아래 화면..

리눅스(Linux) 압축 풀기 명령어 사용법(zip unzip)

zip zip 명령어는 압축을 할때 사용하는 명령어로서 이용하여 압축을 하면 .zip 확장자 파일로 생성되어 압축이 됩니다. unzip unzip 명령어는 압축을 풀때 사용하는 명령어 입니다. 명령어 사용법 zip (압축 파일명) (압축 대상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압축이되어 새로운 .zip파일로 생성됩니다. 예시) zip (압축 파일명) (압축 대상 파일명) (압축 대상 파일명) (압축 대상 파일명) (압축 대상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총4개의 파일이 압축되어 하나의 zip파일로 생성됩니다. 여러개의 파일을 한곳에 압축할 수 있습니다. 예시) unzip (압축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zip확장자 파일에 대한 압축을 풀수 있습니다. 예시) ..

리눅스(Linux) mv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mv mv(move)명령어는 파일을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거나 다른 파일 이름으로 변경하는 명령어 이름바꾸기 명령어 입니다. cp 명령어는 복사 mv 명령어는 이동 윈도우에서는 잘라내기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명령어 사용법 mv (파일명) (변경할 파일명)을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같은 디렉토리 안에서 파일명이 변경됩니다. 예시) mv (파일명) (이동될 디렉토리명)을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입력된 디렉토리로 파일이 이동됩니다. 윈도우에 잘라내기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시) mv (파일1) (파일2) (파일3) (디렉토리명)을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동시에 파일이 지정된 디렉토리로 이동됩니다. 한꺼번에 작업이 가능합니다. 예시) 간단하게 파일을 옮기거나 다른 이름으로 변경하는 명령어를 알아보..

리눅스(Linux) chmod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chmod chmod(change mode)명령어는 대상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문자열로 직접 지정하여 바꾸는 경우와 8진법 수를 이용하여 바꾸는 경우 2가지가 있습니다. 문자열은 r, w, x를 이용하며 8진법은 4, 2, 1숫자를 이용합니다. 명령어 사용법 chmod (-문자+문자)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권한이 변경되는걸 볼수 있습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r은 읽기 w는 쓰기 x는 실행입니다. -r를 입력하면 r권한이 다없어지고 -w를 입력하면 w권한이 없어집니다. 또 +w를 입력하면 w권한이 생기고 +x를 입력하면 x권한이 생깁니다. 예제) chmod u(+-),g(+-)x(+-) (파일명)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 화면과 같이 변경됩니다...

리눅스(Linux) chown 명령어 사용법(기본 옵션만)

chown chown(change owner)명령어는 파일 소유권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root 권한일때 소유권 변경이 가능합니다. 명령어 사용법 chown (변경 소유자) (파일명) 을 입력하면 아래 화면 처럼 파일명(bookfriend.txt)에 대한 소유자 권한이 변경됩니다. 이렇게 소유자만 지정하면 그룹명은 변경되지 않습니다. 예시) chown (변경 소유자).(변경 그룹) (파일명) 을 입력하면 아래 화면처럼 파일명(bookfriend.txt)에 대한 소유자와 그룹명이 같이 변경됩니다. 예시) chown -R (변경 소유자).(변경 그룹) (디렉토리명)을 입력하면 아래 화면처럼 디렉토리 안에있는 파일들 전부 소유자와 그룹명이 바뀌게 됩니다. 이렇게 -R옵션을 사용하면 한번에 소유권..

반응형
티스토리 친구하기